전체 글(106)
-
[MongoDB] MongoDB 6.0 다운로드 방법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배우면서 MongoDB가 이제 막 뭔지 알게 되었다. 하지만, 다운로드를 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크게 시간을 소모했다. 나 같은 사람이 앞으로 안 생기길 바라면서 이 글을 남긴다. 문제는 6.0으로 넘어오면서 bin에 mango.exe 즉, 쉘이 없다. 왜 그런지 모르겠으나 따로 다운 받아야하는데 비전공자에게는 다운로드 하나하나하고 환경설정하는 일이 아주 큰 일들이다. 알고나면 간단한 일이지만 정확하게 알려주지 않으면 돌고돌아 시간을 많이 소모하게 된다. 먼저 다음 주소에서 MongoDB 6.0을 다운받는다. https://www.mongodb.com/try/download/community Try MongoDB Community Edition Try MongoDB Community Edit..
2023.02.17 -
[Node.js] Express.js with Node.js
공부하면서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을 정리하고 넘어가도록한다. 1. Node.js의 역할 Node.js는 기본적으로 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저 밖에서도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프로그래머들이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를 자바스크립트로 직접 상호작용할게 있게 만들었다. (Node.js was made to basically liberate Javascript from the browser and allow programmers to use Javascript to interact with the computer directly, for example on a server.) 2. Express.js란? Node.js의 프레임워크로 백엔드 구축을 위해서 사용한다. Express.js는 npm 패키지 중 하나로 node..
2023.02.14 -
[JS] RangeError [ERR_HTTP_INVALID_STATUS_CODE]: Invalid status code: 에러 해결
간단한 계산기를 만드는 실습이 있었다. 그냥 web에 띄우면 되는데 이거 왠걸 에러가 난다. 복잡한 코드도 아닌데... js 파일로 이렇게 적어주고 html 파일이 이러하다. localhost:3000에서 입력값을 넣고 계산을 하면? 이런 에러난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서칭을하고 또 한 결과 타입에 관한 에러였다. 해결방법과 에러 이유 express에서는 number를 바로 처리하는지 못한다고 한다.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다. n1과 n2를 Number로 바꿔서 놨는데 result는 다시 기본값인 string은 변환된다는 것이다. 딥하게 설명을 하고 싶지만 아직 지식이 끈이 짧디짧아서....그래서 result의 값을 다시 숫자로 변화해야하는데 result + ""를 통해서 string을 number로 바꿔준..
2023.02.11 -
[JS] Express를 이용한 get, post!
1. html 파일을 어떻게 웹에 띄우는가? sendFile을 통해서 html 파일을 웹에 띄울 수 있다. 하지만 이건 상대 경로고 나중에 우리집 컴퓨터가 아닌 클라우드나 다른 사람 컴퓨터로 접속할 때는 절대 경로를 입력해주어야한다. 여기서 활용하는 것이 __dirname이다. path.js에 console.log(__dirname); 써주어 현재 위치를 확인해볼 수 있다. 2. 페이지간 변수 저장을 어떻게 시키는가? html 파일은 이런데 실상 웹페이지에서 숫자를 넣고 계산을 하면 계산이 안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post 메소드를 활용해준다. get에서 내용을 얻고 post로 다시 결과값을 배출하는 것이다. 데이터 활용까지 나아가기 위해서는 다른 npm 패키지가 필요한데 body parser이다...
2023.02.11 -
[JS] Express 활용! 어떻게 시작하는가?
오랜만에 글을 쓴다. 이제 Node.js에 대한 개념을 배우고 Node.js Express까지 왔다. 먼저 Node.js는 자바스크립트의 활용 범위를 웹 밖으로 까지 확장시켰다. 그래서 백엔드 쪽에서 활용하고 있는데 아직까지 개념을 살펴보고 있는 중이다. 이 후로 프레임워크 Express.js를 바로 배웠는데 정리를 해놔야 기억할 것 같아 기록하고자 한다. 일단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 Hyper 터미널을 깔아서 CLI로 조작하려고 한다. 사실 이에 대한 내용은 내가 개발 초창기에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이렇게 다시 보니 공부해놓길 잘했고 언젠가 쓰인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뭔가 항상 아는게 전혀 없어서 너무 날 괴롭게 했는데 정말 반가웠다. 먼저 명령어를 종 정리해야두어야한다. 1. 터미널 조작 용어들 ls -..
2023.02.11 -
5. Github 로컬 저장소 변경하기
나의 첫 문제 해결의 로그를 남기보려고한다. 사실상 이런 내용이 진정한 기술 블로그의 역할이 아닐까 싶다. 사실 git, github가 개발자들에게는 너무나 익숙하지만 개발 공부를 시작한지 얼마안된 나로서는 정말 난관이었다. 일단 commit조차 몰랐기에 모르는 용어가 있으면 다 찾아보고 또 다운로드하고 파일을 온라인으로 옮긴다는, 그냥 클라우드 서버에 올린다는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원하는대로 구성하기가 힘들었다. 일단 올리는 코드는 쉽게 찾아서 할 수 있었지만 로컬 저장소를 설정하고 연결하는 작업에서 나도 꽤나 헤맸다. 돌이켜보면 로컬 저장소 설정이 잘못되었다는 점을 문제라고 인식하기까지가 오래걸렸다. 자꾸 내가 원치 않는 곳에 로컬 저장소가 새로 만들어지고 불필요한 파일들이 올라가다보니 github ..
2023.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