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ip to CS(3)
-
REST API를 하다가 API를 알게된 사연
API는 게임 회사를 다니면서 정말 많이 들었다. 그럼에도 이해하기가 너무 어려웠다. 찾아봐도 뭔가 뜬구름 잡는 소리만 하는 것 같고 잘 이해를 하지 못했다. 이번에 모딥다 스터디를 하면서 REST API를 맡아 발표를 하게되었고 공부하던 중에 API에 대해 자세하게 파고 들었다. 이를 통해서 내가 정의한 API는 코드로 된 가상의 버튼이다. 이 것 이상으로 더 정확히 나를 이해시키는 말은 없는 것 같다. 뭔가 필요한 데이터가 있다면 코드로 된, API라고 이름이 붙어 버튼을 작성하면 된다. 물론 어법상 말이 안되는 말이지만 코드를 적는 행위를 버튼을 누른다고 생각하면 된다. 나는 REST API를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API를 이해하고 API를 이해하기 위해서 Interface를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
2023.05.16 -
cmd 관련 토막 상식
1. cmd란? 오늘날의 pc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기반이다. 그냥 우리 파일창 같은 것들이 GUI로, 마우스로 아이콘을 클릭해서 무슨 일을 하는 방식이다. 예전에는 명령어들을 키보드를 쳐서 작성을 하였는데 그 것을 커맨드 라인 인터페이스(CLI)라 하는데 이 때 명령어를 적는 프로그램을 cmd(Command Prompt)라고 부른다. cmd만 찾아볼라고 했는데 아래는 이 외 이해를 위한 배경 지식이다. 2. Dos란? 도스는 Disk Operating System의 약자로 개인용 운영체제에 붙이는 이름이다. 사실 cmd랑 차이를 잘 모르겠다. 검은 화면 위의 프롬프트라고 불리는 곳에 키보드로 명령어를 입력하는 흔히 원시적인 형태의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셀을 가진 운영체..
2023.01.16 -
컴퓨팅 사고
언어만 배우는게 좀 심심해서 CS 지식을 오전에 공부하고 있다. 부스트코스에서 아주 좋은 강의가 있는데 무려 하버드 강의이다. 강의를 잠깐 들었는데 필요한 지식만 찾아서 공부하다보니 기본 개념에 대한 구멍이 숭숭 뚫려있었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서 구멍들을 메꿔가는 것 같아서 마음이 안심이 되었다. 마치 알았어야하는 것을 미처 알아야한다고 인지도 못하고 있었는데 가르쳐줘서 안 느낌이랄까! 마치 하버드 학생이 된 것마냥 열심히 공부해보겠다. 1) 2진법 컴퓨터는 0과 1로만 처리된다. 2) 비트 이진 숫자라는 뜻을 가진 "Binary digit"의 줄임말이며, 0과 1, 두가지 값만 가질 수 있는 측정 단위 3) 문자의 표현 ASCII > Unicode > UTF-16 > UTF-8 이 부분은 컴활 공부하면서..
2023.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