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3)
-
[백준/node.js] 15624번 피보나치 수 7 (못 풀었음)
코테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서 그냥 강의를 샀다. 애초에 js로 문제를 풀었으면 좋겠어서 패스트캠퍼스에서 질렀다. 사실 dp에서 벽을 느끼고 산거긴 한데 강의를 듣고도 못 풀어서 너무 슬프다. const n = require("fs").readFileSync("example.txt").toString().trim(); const num = BigInt(n); let d = new Array(1000000).fill(0); function fibo(i) { if (i === 0) { return 0; } if (i === 1) { d[1] = 1; return 1; } if (d[i] !== 0) { return d[i]; } d[i] = fibo(i - 1) + fibo(i - 2); return d..
2023.08.11 -
React-Query를 이해하기 위해서
react-query를 강의에서 배웠지만 한 번 까먹었다. 사실 코드상 어렵지는 않은 데 어색해서 까먹었다. 근데 한 번 까먹으면 두 번 까먹기 쉬우므로 기록을 남긴다. 그리고 카카오도 쓰니 중요한 라이브러리 인 것 같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client"; import { QueryClient, QueryClientProvider } from "react-query"; import { ThemeProvider } from "styled-components"; import App from "./App"; import { RecoilRoot } from "recoil"; const queryClient = new Quer..
2023.08.09 -
[백준/node.js] 10828번 차이를 최대로 (못 풀었음)
나는 큰 수 옆에 작은 수를 배치시키면 최대값이 나올거라 생각했는데 답을 보니 경우의 수를 다 따져야했다. 계속 최대값이 62라고?만 속으로 외쳤던 듯... 오늘은 패배; const fs = require("fs"); const [n,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split("\n"); const arr = input.trim().split(" ").map(Number); const sortArr = arr.sort((a, b) => a - b); let answer = []; let count = 0; let sum = 0; for (let i = 1; i
2023.08.08 -
[백준/node.js] 10828번 스택
js를 공부했다면 스택은 모르기 힘든 개념이다. 자신있게 풀었지만 시간초과와 문자열 정리를 잘못해 정답을 보고 풀었다. 1. 그냥 문자열을 뽑았더니 \r이 붙어 나왔는데 그냥 문자열만 ===처리하면 같다 처리가 안나왔다. 2. 콘솔을 그냥 케이스마다 찍었는데 그러다보니 계속 시간초과가 떴다. 그래서 배열에 저장에 나중에 콘솔을 한 번만 찍었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 .readFileSync("/dev/stdin") .toString() .replace(/\r/g, "") .trim() .split("\n"); const stack = []; const answer = []; for (let i = 1; i < input.length; i++) { i..
2023.08.07 -
[백준/node.js] 5073번 삼각형과 세 변
문제 자체가 어렵지는 않지만 난 조건을 구구절절 다 써준게 마음에 걸렸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split("\n"); for (let i = 0; i a - b); if ((arr[0] === 0) & (arr[1] === 0) & (arr[2] === 0)) { } else if (arr[2] >= arr[0] + arr[1]) { console.log("Invalid"); } else..
2023.08.06 -
useEffect에서 왜 return이 바로 안되는 지 궁금했던 나
useEffect는 리액트를 배우게 되면 보통 두번째로 먼저 배우는 훅이다. 첫 번째는 당연 useState일거고 그런데, 갑자기 늘 함수에서 바로 return값이 주어졌던 경험에 비춰 useEffect를 봤더니 아니 왜 return이 자동으로 작동을 안할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물론, 우리는 추측을 할 수 있다. 어떤 로직에 의해서 return 값을 뱉는 것이 제어되고 있을거라는 추측말이다. 하지만, 리액트 초보로서 한 번 리액트의 전반에 대해 알아볼겸 파보았다. useEffect(() => { console.log("I am the effect"); return () => { console.log("I run after re-render, but before the next UseEffect") } }..
2023.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