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9. 7. 21:19ㆍTrip to JavaScript
프로퍼티는 객체의 그 프로퍼티가 맞는 것 같고 그 속성들을 어트리뷰트라고 하는 것 같다.
16.1 내부 슬롯과 내부 메서드
내부 슬롯과 내부 메서드를 선행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내부 슬롯과 내부 메서드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의 구현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ECMAScript 사양에서 사용하는 의사 프로퍼티와 의사 메서드다. ECMAScript 사양에 등장하는 이중 대괄호 ([[...]])로 감싼 이름들이 내부 슬롯과 내부 메서드다.
> 다시 보니 자바스크립트 엔진에서 사용한다는 게 중요한 것 같다. 가장 큰 내부 슬롯이 [[Prototype]]
접근할 수 없다.
하지만 예외가 있다.
[[Prototype]] __proto__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16.2 프로퍼티 어트리뷰트와 프로퍼티 디스크립터 객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프로퍼티를 생성할 때 프로퍼티의 상태를 나타내는 프로퍼티 어트리 뷰트를 기본값으로 자동 정의한다. 프로퍼티의 상태란 프로퍼티의 값, 값의 갱신 가능 여부, 열거 가능 여부, 재정의 가능 여부를 말한다.
16.3 데이터 프로퍼티와 접근자 프로퍼티
접근자 프로퍼티는 [[Get]] [[Set]] 같은거네 이해 되네
접근자 프로퍼티는 자체적으로는 값을 갖지 않고 다른 데이터 프로퍼티의 값을 읽거나 저장할 때 사용하는 접근자 함수로 구성된 프로퍼티다.
16.4 프로퍼티의 정의
Object.defineProperty 메서드를 통해서 가능
16.5 객체 변경 방지
freeze로 불변 객체를 만들어도 직속 프로퍼티까지만 동결하고 프로퍼티 안의 객체는 동결하지 못 한다.
'Trip to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visited JS] 프로토타입을 파훼해보자 (0) | 2023.09.12 |
---|---|
[Revisited JS] 비동기 완벽 이해를 꿈꿔보자 (0) | 2023.09.10 |
[Revisit JS] 클로저 이해해보기 (0) | 2023.09.06 |
[Revisit JS]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어떻게 인터프리터의 단점을 해결했는가? (0) | 2023.09.05 |
[오늘의 이슈] 단순 할당으로 변수 생성이 가능하다는 걸 이제 알았다. (0) | 2023.08.11 |